반응형
SonarQube란 소스 분석 툴로 나는 Springboot 소스 분석을 위해 해당 툴을 사용했다.
최근 도커/쿠버네티스를 공부하는 중이라 Sonarqube도 기존에는 VM에 설치하여 사용하다가 도커이미지를 쿠버네티스 Pod에 올려서 생성했다.
생성 후 DNS 도메인을 연결했다. A 레코드 생성 (sonarqube.hrc0303.com)
젠킨스와 소나큐브를 연동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작업이 필요하다.
1. 젠킨스에 소나큐브 관련 플러그인 설치 (Sonarqube Scanner , Sonarqube Qualtiy Gate )
2. 소나큐브 로그인 (최초ID/PW admin/admin)
3. 소나큐브 Webhook 생성 (http://jenkins.hrc0303.com/sonarqube-webhook/ --> jenkins.hrc0303.com에 자신의 젠킨스 도메인 혹은 ip 입력 | sonarqube-webhook 뒤에 / 꼭 있어야함
4. 젠킨스 설정에서 소나큐브 정보 입력 및 소나큐브에서 토큰 생성 후 추가 // 나의 경우 Server URL 맨뒤에 / 를 붙여 3시간 동안 에러를 찾음.. 결국 /를 빼야함
5. Jenkinsfile 소나큐브 관련 stage 추가
반응형
'Devops > 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CLI - 플러그인 설정 (0) | 2024.07.12 |
---|---|
Jenkins CLI - Kubernetes Cloud 등록 (0) | 2024.07.11 |
Jenkins CLI - CLI 사용을 위한 설정 (0) | 2024.07.11 |
Jenkins Pipeline 구축 (Springboot 기반) (0) | 2024.07.06 |
Jenkins - Kubernetes 연동 (0) | 2022.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