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nkins 초기 설정 관련해서 어떻게 설정하면 좋을 까 생각해보다 Jenkins CLI 를 사용해서 Jenkins를 설정하는 방법을 해보려고 한다.
먼저 Jenkins를 도메인을 통해 사용 중이라면 역방향 프록시라고 나오지 않도록 해당 설정을 자신의 도메인으로 해줘야한다.
스터디 중인 내용이라 먼저 파악한 항목은 다음과 같다.
1.JAVA 설치 필요
JAVA 설치에 대해서는 구글링 시 많이 나오는 부분이라 별도로 설명하지는 않는다.
다만 https:// 로 호출 시 SSL 인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한다.
먼저 echo $JAVA_HOME을 통해 JAVA_HOME에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없다면 /usr/lib/jvm/ 경로 아래 자신의 자바 버전으로 ~/.bashrc에 export JAVA_HOME=/usr/lib/jvm/java-11-openjdk-amd64 이런 형식으로 등록 후 Source ~./bashrc 명령어로 반영 후 확인해본다.
자바 버전 조회
설정 확인
JAVA_HOME 등록이 되어있다면 인증서를 JAVA 키스토어에 추가해줘야한다.
1)인증서 다운로드는 아래 명령어에 자신의 도메인을 넣어서 할 수있다.
echo -n | openssl s_client -connect jenkins.hrc0303.store:443 | sed -ne '/-BEGIN CERTIFICATE-/,/-END CERTIFICATE-/p' > jenkins.crt
2) 저장된 jenkins.crt를 Java 키스토어에 추가하는 방법이다.
sudo keytool -import -alias jenkins -keystore $JAVA_HOME/lib/security/cacerts -file jenkins.crt
Enter keystore password: 라고 나오게 되면 기본 비밀번호인 changeit 를 입력한다.
Trust this certificate? [no]: 라는 문구가나오면 yes를 입력한다.
Certificate was added to keystore 라는 문구가 나오면 정상적으로 등록된 것이다.
2. jenkins-cli.jar 파일 받기
Jenkins 관리에서 Jenkins CLI 항목을 클릭 하게 되면 사용 가능한 명령어들과 jar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는 링크가 나온다.
상단의 Download jenkins-cli.jar를 누르게 되면 파일이 다운로드 되고 사용할 수 있다.
3. 기본 호출 구조 : java -jar jenkins-cli.jar -s https://jenkins.hrc0303.store/ -auth user:passwd
아래 적힌 명령어로 조회,생성,삭제가 가능하다.
먼저 테스트로 job을 조회하는 명령어를 실행해본 결과이다.
ID:PW 부분은 지우고 올렸다.
Jenkins 콘솔에서 볼떄와 동일하게 job이 보이게 된다.
'Devops > 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CLI - 플러그인 설정 (0) | 2024.07.12 |
---|---|
Jenkins CLI - Kubernetes Cloud 등록 (0) | 2024.07.11 |
Jenkins Pipeline 구축 (Springboot 기반) (0) | 2024.07.06 |
Jenkins - Kubernetes 연동 (0) | 2022.09.17 |
Jenkins - Sonarqube 연동 (0) | 2022.09.17 |